반응형
내일은 데카러너스 훈련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조깅을 했습니다.
러닝 데이터 분석
- 페이스 (Pace)
- 평균 페이스: 6:26/km
- 그래프를 보면 전반적으로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했으며, 마지막 35분 이후에 속도를 올리며 질주한 것이 보임.
- 페이스 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조깅을 했고, 후반부에 스프린트를 추가한 것으로 보임.
- 심박수 (Heart Rate)
- 평균 심박수: 128 bpm
- 초반에는 100bpm 부근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으로 증가, 25분 이후 130bpm 가까이 상승.
- 35분 이후 질주하면서 급격한 상승이 예상되며, 마지막 부분에서 140bpm 이상 도달한 것으로 보임.
- 페이스 증가와 함께 심박수도 적절히 상승하여, 유산소 영역을 유지하면서 질주를 마무리함.
- 케이던스 (Run Cadence)
- 평균 케이던스: 174 spm (steps per minute)
- 전반적으로 일정한 케이던스를 유지했으며, 마지막 35분 이후 스프린트에서 급상승.
- 러닝 시 170~180 spm 정도면 효율적인 케이던스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안정적인 주법을 보였음.
- 지면 접촉 시간 (Ground Contact Time)
- 평균 접촉 시간: 263.6ms
- 빠른 케이던스를 유지하면서 접촉 시간이 일정함.
- 스프린트 이후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발을 더욱 빠르게 뗀다는 의미로 자연스러운 변화.
노바블라스트5 신발 착용 영향
- 노바블라스트5는 부드러운 쿠셔닝과 반발력이 특징인 신발.
- 평균 접촉 시간이 260ms대로 유지된 것을 보면 쿠셔닝이 강한 러닝화답게 부드러운 착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음.
- 질주(스프린트) 시에도 큰 페이스 변화 없이 유지되었는데, 이는 반발력(에너지 리턴)이 잘 작용했음을 의미.
러닝 분석 총평
✅ 장점
- 안정적인 페이스 유지
- 유산소 영역에서 효율적인 심박수 조절
- 평균 케이던스(174 spm) 적절함
- 지면 접촉 시간이 일정하여 착지 안정성 유지됨
- 질주 시에도 신발의 반발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러닝 가능
⚠️ 개선점
- 심박수가 후반부에 상승했지만, 지속 가능한 페이스인지 체크 필요.
- 질주 후 쿨다운 구간이 부족해 보일 수 있음 → 마무리 조깅 추가 필요.
- 페이스 상승 시 케이던스 증가보다 보폭 조절도 함께 고려하면 더욱 효율적인 주법 가능.
💡 추천 전략
- 마지막 질주 전 페이스 상승 구간을 좀 더 길게 설정하여 러닝 효율을 높일 수 있음.
- 쿨다운(마무리 러닝) 시간을 5분 추가하면 회복에 도움.
- 질주 시 보폭을 약간 늘려 페이스를 높이면 에너지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음.
반응형
'운동 > 러닝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10 조깅+질주 - 노바블라스트5 (0) | 2025.03.10 |
---|---|
25.3/8 페이스 훈련 - 아디제로 프로3 (0) | 2025.03.08 |
오늘의 러닝 훈련 - 써코니 엔돌핀 스피드4 (0) | 2025.03.06 |
🏃♂️ 2025 경기 수원 국제하프마라톤 참가 후기 🏅 with 아디다스 아디제로 프로4 (0) | 2025.03.04 |
데카러너스 1주차 참석 후기 - 아디오스 프로3 트랙 훈련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