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2주 후에 있을 JTBC 고양하프마라톤 대비 마지막 2시간 LSD(Long Slow Distance)를 실시했습니다.
페이스 관계없이 케이던스를 180에 고정하는 훈련을 위주로 시행했고 신발은 이번에 들여온 슈퍼블라스트 2를 신었습니다.

러닝 데이터 분석

🟦 1. 페이스 (Pace)
- 평균 페이스: 5:37/km
- 그래프 해석: 전 구간에 걸쳐 매우 일정한 페이스 유지. LSD 목적에 맞게 빠르지 않고, 흔들림이 적은 안정적인 페이스를 보여줌.
- 특이사항: 중간에 약간 속도가 빨라진 구간이 있으나, 큰 변화는 아님. 지구력 훈련 관점에서는 이상적.
❤️ 2. 심박수 (Heart Rate)
- 평균 심박수: 146 bpm
- 그래프 해석:
- 초반엔 130대에서 천천히 상승해 중반부엔 150 내외에서 유지됨.
- 후반엔 약간의 피로가 쌓인 듯 소폭 상승 경향.
- 해석: Zone 2 후반 ~ Zone 3 초반 정도로 판단됨. LSD로선 살짝 높은 편이지만, 체력 향상 목표에는 적절함. 추후엔 140 bpm 이하로 페이스 조정해도 좋을 듯.
🟠 3. 케이던스 (Run Cadence)
- 평균 케이던스: 179 spm
- 그래프 해석:
- 목표한 대로 180 spm을 잘 유지하려고 한 노력이 보임.
-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짙은 보라색 점들(>183 spm)**이 분포되어 있어, 순간적으로 오버되는 구간도 있음.
- 총평: 과도하게 오버하지 않도록 후반부 조절하면 더욱 완벽할 듯.
🟢 4. 지면 접촉 시간 (Ground Contact Time)
- 평균 GCT: 247.8 ms
- 그래프 해석:
- 전체적으로 250ms 이하 유지, 이는 LSD치곤 경쾌한 발놀림을 의미.
- 슈퍼블라스트 2의 반응성과 쿠셔닝도 한몫한 것으로 보임.
- 좌우 밸런스도 비교적 일정, 피로 누적에 따른 변화도 크지 않음.
👟 신발 착화 영향 (슈퍼블라스트 2)
- 특징: 경량 + 높은 반발력 + 안정성
- 오늘 데이터에서 GCT 감소, 고른 케이던스 유지, 낮은 피로 누적 등을 볼 때 슈퍼블라스트 2가 LSD에 매우 적합했음.
- 장시간 러닝 시 무릎, 고관절 부담도 덜했을 가능성이 큼.
📝 종합 정리
지표 수치 해석
평균 페이스 | 5:37/km | 일정하고 안정적 |
평균 심박수 | 146 bpm | Zone 2 후반 ~ Zone 3 초반 |
평균 케이던스 | 179 spm | 의식적으로 180 근접 유지 |
평균 GCT | 247.8 ms | 부드러운 착지, 좋은 폼 유지 |
슈즈 효과 | - | 충격 흡수 및 반발력 우수 |
🔍 개선 포인트 & 다음 목표 제안
- 심박수 140대 초반으로 낮추는 LSD 훈련도 시도해보기 (Zone 2 고정)
- 케이던스 180 ± 2 spm 구간 유지 연습 – 너무 높은 케이던스는 에너지 효율에 오히려 마이너스될 수 있어
- LSD 후 스트레칭 + 마사지건 or 폼롤러로 회복 집중
- 다음 LSD는 2시간 15분 or 거리 기준(예: 22km) 도전도 좋음
반응형
'운동 > 러닝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고양하프마라톤 후기 – 아디제로 프로 4와 함께한 PB 레이스! (0) | 2025.04.06 |
---|---|
4/1 러닝 일지 - 인터벌훈련 with 아디제로 프로3 (0) | 2025.04.01 |
데카러너스 1기 마지막 수업과 5k PB with 아디다스 프로4 (0) | 2025.03.22 |
25.3/21 러닝 일지 with 슈퍼블라스트2 (0) | 2025.03.21 |
3/20 - 러닝 일지 with 노바블라스트5 (0) | 2025.03.20 |